* 오, 의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카인 “이 육성지에서 우리는 너와 교류하고, 여러 가지 체험을 하고, 마음을 성장시켜 갈 거야. 마음의 강함이 마법사의 강점으로 이어진다고.”
“성장한 마법사는 『각성 캐릭터』가 된다. 각성 캐릭터가 된 마법사는 옷도 성질도 변한다고 하는데....”
“궁금하면 실제로 마법사를 육성해서 보는 게 제일 빠를 것 같은데? 다음 『교류 버튼』을 눌러봐.”
카인 “교류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어. 버튼 색깔에 따라서 성장하는 마음의 강도(세기)의 종류가 달라.”
“파티에 들어가는 마법사도 기분에 따라 교류를 도와줘. 하하, 마법사는 기분파가 많으니까.”
“이들 머리 위에 있는 게이지를 봐 줘. 게이지가 높은 마법사일수록 당신에게 협조적이고, 교류에 참가해 주기 쉬워.”
“교류에 참가하는 마법사가 많을수록, 육성에도 유리해지니까. 일단, 기억해둬.”
“자, 빨간 버튼을 눌러봐. 빨간 버튼의 교류는 마법사의 『패션』을 강하게 해 줄 거야.”
“좋아, 『패션』이 강해졌군! 게다가 『진면목』의 특성도 획득한 것 같아.”
“교류를 하면 마음이 성장할 뿐만 아니라, 『특성』을 함께 획득할 수 있어. 이것도 육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야.”
“마법사와 교류하고, 마음을 잇고, 성장시킨다. 이것이 기본적인 육성의 진행 방법이야.”
카인 “덧붙여서 교류를 하면 턴과 스태미나가 소비돼. 턴이 0이 되면 육성의 1 파트가 끝나 버려.”
“스태미나 양은 위 게이지로 확인해 줘.”
“이곳에선 마법사의 컨디션도 확인할 수 있어. 몸이 좋을 때 교류를 하면 많이 마음을 성장시킬 수 있으니까.”
“반대로 스태미나가 낮은 상태에서 교류를 계속하면 다칠 수 있거든. 그렇게 되지 않도록 적당히 쉬게 하라구.”
“다치면 교류의 결과가 나빠지니까 주의가 필요해.”
카인 “『휴식하다』를 선택해서 얘를 쉬게 해 줘.”
“좋아, 회복된 것 같군.”
카인 “이것은 『특별 명령어』라고 불리는 육성지마다 있는 특별한 행동이야. 이것을 선택하면 마법사의 마음이 더욱 성장한다.”
“우리들을 여러 육성 장소에 데리고 가서, 여러 가지 『특별 명령어』를 시도해 봐도 좋다고 생각해.”
카인 “마법사의 각성 후의 모습을 알고 싶다고? 『상황 보기』 버튼을 눌러봐.”
“육성 중에는 에피소드가 발생하는 일이 있어. 에피소드에는 『캐릭터 에피소드』와 『스팟 에피소드』의 두 종류가 있다.”
“육성하고 있는 마법사와 스팟을 통해 발생하는 에피소드도 바뀐다고 하더군.”
“이것으로 육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육성 파트를 더 길게 할 수도 있는데 이번에는 이 정도로 해 둘까?”